국제적 공급망이 밀접하게 연결돼 있고, 수출입 시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정치적, 경제적 이유로 더 자원을 가진 국가에서 무역 의존도가 높은 품목을 볼모로 다른 나라를 압박하는 일이 발생한다. 이어 상대국은 보복 조치하며 대치하다가 한쪽에서 양보하거나 협의점을 찾거나 무력화한다.
자원 부국인 중국의 경우에는 자원을 정치와 관련한 보복 수단으로 이용하기도 한다. 특정 자원에 대한 특정 나라의 의존도가 높을수록, 대체하기 힘들수록 이런 일이 벌어진다. 이때 무기가 되는 자원은 산업 발달에 꼭 필요한 식량, 에너지, 소재, 원자재 등이 있다.
2016년 7월 13일 뿔난 중국, 반한 정서 확산 묵인…‘소리 없는 경제 보복’ 할 가능성, 박병률 https://www.khan.co.kr/politics/defense-diplomacy/article/201607132301005
중국은 자국이 불이익을 받을 때마다 직간접적인 경제보복 조치를 해왔다. 2010년 이후에도 노르웨이, 일본, 대만이 어려움을 겪었다. 경제보복의 배경에는 ‘불의는 참아도 불이익은 못 참는다’는 중국적 정서가 자리하고 있다. ‘10년 내에만 복수를 하면 사나이’라는 중국 속담처럼 집요하다는 특징도 있다.
자원으로 인한 무역 전쟁
자원 전쟁
자원 민족주의
자원 무기화
자원 보호주의
자원 안보
자원 카르텔
무역 갈등의 배경
환경 파괴 문제, 기후 변화 대처
코로나 대유행 기간 동안 공급망 위기
러우 전쟁 이후 식량, 에너지 안보 문제 발생
자국 중심주의 기조
각국의 무역 전쟁
| 발생시점 | 제재국 | 제재 내용 | 이유 | 
| 종료시점 | 상대국 | 보복 조치 | 결과 | 
| 
			 1993년 3월  | 
			미국 | 14개 제품 100% 보복관세 | 
			 중남미산 바나나보다 높은 관세  | 
		
| 유럽 | 
			 미국 노후 항공기 영공 통과 금지 미국산 소고기 금수조치  | 
			||
| 
			 2010년  | 
			중국 | 노르웨이산 연어 수입 금지 | 
			 반체제 인사 노벨 평화상 수상  | 
		
| 노르웨이 | 수출 다변화 | ||
| 2012년 | 중국 | 
			 관광 중단 바나나 통관 건부  | 
			스카버러섬 영토 분쟁 | 
| 2016년 6월 | 필리핀 | 국제중재재판소 판결 | 친중 행보에 따라 해제 | 
| 
			 2013년  | 
			콜롬비아 | 
			 신발 섬유 10% 관세 꽃, 시멘트, 유연탄 30% 관세  | 
			
			 자국 산업 보호  | 
		
| 파나마 | |||
| 2014년 | 중국 | 농산물 수입 제재 | 파라셀 제도 영유권 분쟁 | 
| 베트남 | 수출 다변화 | ||
| 
			 2015년 1월  | 
			베트남 | 38개 생과일 수입 보류 | 
			 까다로운 수입 식품 검역  | 
		
| 호주 | 베트남산 리치 수입 허용 | ||
| 
			 2016년 5월  | 
			중국 | 단체관광 제한 조치 | 
			 독립 지지 정권 집권  | 
		
| 대만 | 동남아 관광객 비자 면제 조치 | ||
| 
			 2016년  | 
			중국 | 
			 한국인 연예인 출연 금지 한국 작품 수입 금지  |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 
		
| 한국 | 문화 수출 시장 다변화 | ||
| 
			 2017년 3월  | 
			베트남 | 땅콩, 계수나무씨, 콩 등 수입 유예 조치 | 
			 땅콩 벌레 감염 확인  | 
		
| 인도 | 커피 원두, 후추, 계피, 용과 등 수입 중단 | 
			 식물 위성 검사 방법 공유  | 
		|
| 
			 2018년 7월 6일  | 
			미국 | 360억 달러 규모 25% 관세 부과 | 
			 불공정 무역 관행 지적재산권 침해  | 
		
| 중국 | 
			 360억 달러 규모 25% 보복 관세  | 
			||
| 
			 2019년 7월 1일  | 
			일본 | 반도체 디스플레이 핵심 소재 수출 차단 | 
			 일본제철 강제징용 배상 판결  | 
		
| 2023년 | 한국 | 
			 소부장 자립화 수입 다변화  | 
			|
| 
			 2020년 5월 12일  | 
			중국 | 
			 소고기 수입 규제 보리, 와인 관세 부과 석탄 수입 금지  | 
			
			 코로나19 조사 요구  | 
		
| 호주 | 
			 건초 수출 금지 일대일로 협력 파기 WTO 제소  | 
			
2017년 4월 3일 중국 '노벨상 보복' 이겨낸 노르웨이 연어, 김승범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4/03/2017040300350.html
2019년 8월 12일 다른 나라는 무역전쟁을 어떻게 이겼을까?, 정수현 https://www.sedaily.com/NewsVIew/1VMXW12J6Q 
2022년 4월 27일 러, 폴란드·불가리아에 가스 공급 중단…"에너지 무기화", 장영은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489126632300384&mediaCodeNo=257
2022년 5월 30일 日매체 "한국 수출규제, 자립도만 높여..적대감 사로잡힌 제재는 역효과", 강민경 https://news.v.daum.net/v/20220530091515701
아사히 신문은 경제 제재와 수출 규제의 목적은 상대방의 행동을 억제하고 정책 변경을 촉구하는 것이라며 목적을 명확하게 하고 그 결과를 파악하는 게 관건이라고 강조했다.
| 분류 | 제목 | 날짜 | 
|---|---|---|
| 상대를 일반화해서 벌어지는 세대 갈등 | 2021년 10월 26일 | |
| 국가 간의 무역 갈등, 무역 분쟁, 무역 전쟁, 경제 보복 | 2022년 04월 27일 | |
| 성소수자 트랜스젠더(Transgender)와 여성 사이의 갈등 | 2025년 04월 20일 |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