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시대상/미래상

생활/소비
2022년 03월 21일

1990년 대 패션은 요즘 젊은 세대에게 촌스러운 게 아니다. 오히려 힙하다는 반응 일색이다. 오히려 지금보다 더 세련되고 자유롭다는 것이다. 그런데 2000년을 앞둔 세기말 감성과 최근의 세태가 묘하게 닮은 지점이 있다. 왜 그럴까? 대략 20년이 지났지만, 그때나 지금이나 물질문명의 발전에 비해 정신문명의 발전은 더딘 편이다. 여전히 사회는 혼란스럽고, 사람들은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 갈피를 못 잡고 흔들린다. 그런 면에서 디스토피아적인 세기말 감성은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두려움이 가득한 요즘 사람들에게 호소력이 있다. 세기말의 사이버 펑크 코드는 드라마 오징어 게임의 피비린내 나는 서바이벌 게임으로 치환되고, 때로는 어이 없이 웃기는 병맛 코드에 열광하며 판타지한 세계관에 온몸을 던진다.

 

구분 1990년대 말 2020년대 초
변화의 시기 독일이 통일하고, 소련이 붕괴하고, 미국과 중국이 수교했다. 오랜 냉전의 시대가 끝나가고 있었다. 한국 정치에서는 군부 시대를 종식하고 최초의 정권 교체가 있었다. 그 가운데 IMF라는 아픔도 있었다. 2000년을 앞두고 세상이 요동쳤다.  미국과 중국이 본격적으로 대립하고, 영국은 EU를 탈퇴했다. 그리고 아무도 코로나 대유행을 예측하지 못했다. 한쪽에서는 백신을 맞고 마스크를 착용하는 반면에 다른 한쪽에서는 일상으로 회복하려는 움직임이 거세다.
어수선한 사회 세기가 바뀌는 시점이다.  밀레니엄 버그 때문에 컴퓨터가 멈출지도 모른다는 말이 돌았다. 종말론은 더욱 기승을 부렸다. 성큼 다가온 21세기는 희망찬 꿈을 안겨주기도 했지만, 일상 속에서 체감할 수 없었다. 언제쯤 모든 것이 완전히 정상화될지 아무도 예측하기 힘들다. 최초의 바이러스는 변이에 변이를 거듭하고, 그때마다 급증하는 확진자를 보며 말 없는 불안감을 느낀다. 누구는 음모론을 펼치고, 누구는 방역을 풀라고 데모한다.
불안과 좌절 1990년대 말에 아시아에서는 금융 위기가 있었다. 한국에서도 피해가 극심했다. 이름만 들어도 알만한 기업이 부도 처리됐고, 많은 실직자가 발생했다. 그리고 그 이후로는 그야말로 각자도생의 시대가 왔다. 당장 먹고 사는 문제가 급했다. 그래서 어쩔 수 없이 꿈을 포기해야 했다. 눈에 보이지 않는 바이러스는 마스크와 사회적 거리 두기를 표준으로 만들었다. 졸업식, 결혼식과 같은 대소사는 물론 소풍, 축제, 콘서트까지 빼앗아 갔다. 하늘길은 막혔고, 마음 놓고 사람을 만날 수조차 없다. 안전에 대한 불안감에다가 가족에게 피해를 줄까봐 걱정하고, 생계의 고민까지 더해졌다.
몰입과 분출

냉전의 시대가 저물었지만, 새 체제는 완전히 정착하지 않았다. 아직은 모든 것이 가변적이어서 마음의 평화를 얻기 어렵다. 그래서 무언가에 몰입한다. 포켓몬 빵의 띠부씰을 모으는 데 열중하고, 이전까지 시도하지 않았던 과감한 패션을 실험했다. 그리고 비현실적인 사이버 펑크가 문화계를 휩쓸었다.

강제로 활동 반경이 축소된 상황에서 OTT와 게임의 인기가 급증했다. 힘든 현실을 잊기 위해 가상 세계로 몰려간 것이다. 어떤 사람은 힙합 장르를 빌어 욕을 하면서 불만을 토로한다. 다른 한편에서는 민초파가 이상한 맛을 대중화시킨다. 과연 암호화폐와 NFT, 메타버스가 우리를 구원해줄까?

 

pokemon.jpg

 

어차피 내 마음대로 안 되는 세상, '될 대로 돼라'라는 식의 욕구 분출이 증가한다. 명품의 명성에 기대거나 눈에 보이는 성과와 아름다움에 집착한다. 이때 이들의 눈에 들어온 건 이미 결과를 아는 세기말의 문화이다. 지나간 과거는 아무리 고통스러웠더라도 어느 정도 아름답게 보정된다. 이런 식으로 울적한 마음을 달래주며 부정적인 생각에서 벗어나 현재를 살아갈 일말의 용기를 준다. 모든 것을 내려 놓고 나니 오히려 자유로운 기분이 든다. 이러한 세기말 감성을 통해 나이 든 세대는 지금은 사라져 버린 시대를 추억하고, 젊은 세대는 새롭게 탐구하거나 모험한다. 그리고 그러는 사이에 지긋지긋한 코로나 바이러스가 사라지기를 소망한다.

삭제하시겠습니까?
취소
사진 및 파일 첨부

여기에 파일을 끌어 놓거나 왼쪽의 버튼을 클릭하세요.

파일 용량 제한 : 0MB (허용 확장자 : *.*)

0개 첨부 됨 ( / )
취소
삭제하시겠습니까?
취소

시대상을 정리하는 이유

연구에 참고하려고 필요한 자료를 정제하지 않고 시계열로 정리하는 중이다. 주관적인 관심사가 반영되며, 인터넷에서 찾은 자료를 부분적으로 정리하므로 부정확할 수 있다. 편의상 만들어서 내용이 없는 게시물도 ...

역사/세상

2026년 이후

2026년 2월 6일~22일 이탈리아 밀라노·코르티나 동계 올림픽 2026년 6월 11일~7월 19일 북미 월드컵: 캐나다 멕시코 미국 2026년 7월 1일 인천 송도 로보컵 https://trenddb.com/case/1665677 2026년 11월 3일 미국 ...

정치/시민

2025년 9월 10일 찰리 커크(Charlie Kirk) 미국 보수 논객 피살

극우 인플루언서의 사망에 분노하며 좌파 척결을 외친다. 이전까지는 하층민을 대변하는 진보 진영이 연대를 외쳤다면 이제는 보수 진영이 연대한다. 상류층은 그대로인데, 보수적인 하층민이 박탈감을 호소하며, 진...

정치/시민

2025년 8월 26일 인도네시아/2025년 9월 5일 네팔 외: Z세대 시위

일본 만화 원피스 해적 깃발 https://youtu.be/J-c38l5AndI?si=ouQB7CHQYJIvZrBd&t=115 2025년 10월 9일 전 세계 곳곳에서 정부를 무너뜨리는 Z세대 … 그러나 SNS 시위가 지속적인 변화로 이어질 수 있을까?https://w...

행사/체육

2025년 8월 25일 축구 혼혈 선수 국가대표 경기

1970년대 농구 김동광 https://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128056 1998년 축구 장대일 한국 어머니, 영국 아버지 2007년 축구 강수일 한국 어머니, 미국 아버지 2009년 9월 8일 어머니 나라 찾...

생활/소비

2025년 7월 한국 여행 관광 불만을 공유하는 동영상

여행 콘텐츠가 인기를 끌면서 유튜브를 통해 동영상으로 여행 불만을 공유한다. 또, 한국에서는 JTBC 사건반장에서도 이런 사례가 소개된다. 과거에도 커뮤니티나 사회관계망 서비스에서 공유했지만, 동영상으로 문제...

경제/산업

2025년 7월 28일 중국 로봇 쇼핑몰: 로봇굴기(机器人崛起)

로봇 스포츠 대회 2025년 4월 13일 하프 마라톤 대회 로봇 출전 https://trenddb.com/case/1594159 2025년 5월 25일 인간형 로봇 격투기 대회 https://trenddb.com/case/1644425 2025년 5월 27일 로보(ROBO) 리그 htt...

정치/시민

2025년 6월 4일~2030년 6월 3일 제21대 이재명 대통령

한국에서는 2025년 6월 4일부터 2030년 6월 3일까지 제 21대 이재명 대통령(더불어민주당) 임기가 시작됐다. 슬로건은 '이제부터 진짜 대한민국'이다. 예상하지 못한 비상 계엄 사태로 조기에 대통령 선거가 이루어졌...

행정/법률

2025년 6월 27일 6·27 가계 부채(부동산) 억제/2025년 7월 3일 상법 개정: 주식 시장 부양

자산 축적과 신분 상승을 위해 부동산을 지렛대로 이용하는 풍조를 바꾸려고 시도한다. 부동산 구입에 대출이 필수인만큼 대출 규모를 줄이고, 부동산 말고도 주식으로 돈을 벌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려고 한다. 빠른...

1

대중문화

2025년 6월 20일 미국 만화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KPop Demon Hunters)

일본 기업의 자회사인 미국 만화영화 제작사가 한국계 감독과 배우진으로 한국적인 소재의 만화영화를 만들어서 성공한다. 특히 노래가 인기를 끈다. 한국 순위 외국 순위 골든 소다팝 유어 아이돌 골든 유어 아이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