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시대상/미래상

미국은 신생 국가답게 자본주의가 발달하면서 자본가의 시선으로 사회를 구조화하며, 평등과 분배를 중시하는 사상이 발달하지 못한다. 대신 악을 물리친다는 선민 의식과 세계 최강국이라는 자부심으로 국민을 이끈다. 다만, 천문학적인 나라 빚과 극심한 빈부격차, 인종 갈등의 불씨를 안고 있다.

 

미국인의 공포심을 자극하는 존재

• 공산주의자(한국식으로 빨갱이, 주사파, 종북): 러시아, 중국
• 무정부주의자(아나키스트)

• 반전주의자

• 노동조합

• 외국인, 이민자, (난민): 이슬람

 

적을 상정하고 적대시하는 외교 정책

미국이 공산당으로부터 직접적인 피해를 입은 적이 없는 때부터 공산주의를 배격하며 애국주의적인 형태를 띤다. 나중에는 전세계를 공산주의로부터 지킨다는 명분으로 시장을 선도하고, 군수 산업을 키운다.

구분 세계의 공산화 시도 미국식 공산화 반대

우선

노동자>자본가 자본가>노동자
전개 공산주의로 시작했다가 독재 자본주의 구조의 고착화
1차

1917년 2월, 10월 러시아 볼셰비키 혁명

 

 

 

 

1917년~1920년 1차 적색 공포

1919년 팔머의 급습, 법무장과 미첼 팔머

1918년 사회당 유진 뎁스 구속

2차

 

 

1948년 9월 9일 북한 수립

1949년 10월 1일 중국 수립

1949년 10월 7일 동독 수립

1950년 6월 25일~1953년 7월 27일 한국전쟁

1955년 11월 1일~1975년 4월 30일 베트남 전쟁

1945년~1991년 냉전 체제

1947년~1957년 2차 적색 공포

 

 

 

1950년 2월 9일~1954년 매카시즘(McCarthyism) 

조지프 매카시 공화당 상원의원 주장

http://heestory.net/flow/10981

 

한국 보수 언론은 미국을 예로 들며 잘 사는 나라에는 공산주의나 사회주의가 없다면서 이를 칭찬한다. 
2011년 11월 22일 미국에서 맥 못추는 사회주의 세력...왜? http://www.future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715
2011년 12월 6일 미국서 맥못추는 사회주의 세력...왜? https://www.newdaily.co.kr/site/data/html/2011/12/06/2011120600103.html
2012년 6월 11일 미국에서 공산주의가 힘 잃은 진짜 이유는?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2/06/11/2012061100761.html

 


질문.한국인은 북한의 남침으로 시작한 한국 전쟁때문에 공산주의를 부정적으로 본다. 미국은 어떤 계기와 이유로 공산주의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는 걸까? 무엇이 그들을 세계의 경찰로 만들었나?

삭제하시겠습니까?
취소
사진 및 파일 첨부

여기에 파일을 끌어 놓거나 왼쪽의 버튼을 클릭하세요.

파일 용량 제한 : 0MB (허용 확장자 : *.*)

0개 첨부 됨 ( / )
취소
삭제하시겠습니까?
취소

정치/시민

1917년~1920년 1차 적색 공포/1947년~1957년 2차 적색 공포: 미국식 레드 콤플렉스(Red Complex), 적색 공포, 색깔론

미국은 신생 국가답게 자본주의가 발달하면서 자본가의 시선으로 사회를 구조화하며, 평등과 분배를 중시하는 사상이 발달하지 못한다. 대신 악을 물리친다는 선민 의식과 세계 최강국이라는 자부심으로 국민을 이끈...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