앨런 프리드(Alan Freed) 미국 클리블랜드 라디오 방송국 DJ가 명명한다. 아프리카계 미국 흑인의 음악이 로큰롤로 발전한다. 미국 외에 영국과 일본에서 인기다. 과거 청년층의 로큰롤 사랑이 지금은 힙합으로 바뀐 듯하다. 창고에서 만든 개러지 록(Garage Rock)과 대규모 자본을 투입한 아레나 록(Arena Rock)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http://archive.izm.co.kr/contentRead.asp?idx=18780&bigcateidx=15&subcateidx=17&view_tp=1
록 음악 강세 지역
영국, 미국, 일본
현대 록 음악의 특징
• 저항보다 사랑을 노래한다.
• 에너지를 분출시키기보다 말랑말랑한 리듬을 선호한다.
• 과거보다 록부심이 약해졌다.
• 과거 밴드가 여전히 인기 있는 고인물 파티다.
로큰롤의 장르
편집.연도는 결성과 데뷔가 혼재돼 있다.
1940년대 아프리카계 미국 흑인 음악에서 시작
1951년 미국 리틀 리처드 (Little Richard)
1955년 3월 25일 영화 폭력교실(The Blcakboard Jungle): 빌 헤일리(Bill Haley)의 Rock around the clock 삽입
1955년 5월 21일 미국 척 베리(Chuck Berry)
1956년 미국 엘비스 프레슬리(Elvis Presley) 데뷔
1958년 2월 20일 미국 버디 홀리(Buddy Holly)
1950년대 후반 팝 록(Pop Rock)
1994년 마룬 5(Maroon 5)
1960년대 초반 미국 남부 캘리포니아 서프 록(Surf Rock)
1960년대 중후반~1970년대 초반 미국 사이키델릭 록(Psychedelic Rock)
1967년 미국 도어즈(The Doors)
1967년 미국 지미 헨드릭스(Jimi Hendrix)
1960년대 포크 록(Folk Rock)
1962년 미국 밥 딜런(Bob Dylan)
1959년~1970년 영국 비틀즈(The Beatles)
1963년 영국 롤링 스톤즈(The Rolling Stones)
1964년 2월 7일 미국 브리티쉬 인베이젼(British Invasion)
1968년~1980년 영국 퀸(Queen)
1960년대~1970년대 블루스 록(Blues Rock)
1968년~1980년 영국 레드 제플린(Led Zeppelin)
1960년대~1970년대 컨트리 록(Country Rock)
1972년 미국 이글스(The Eagles)
1960년대~1970년대 중반 영국 프로그레시브 록(Progressive Rock), 아트 록(Art Rock)
1965년 영국 핑크 플로이드(Pink Floyd)
1974년 3월 18일 캐나다 러시(Rush)
1960년대 라틴 록(Latin Rock)
1966년 미국 산타나(Santana)
1960년대 후반~1970년대 전반 소프트 록(Soft Rock)
1960년대 후반~1970년대 초중반 재즈 록(Jazz Rock)
1969년 미국 시카고(Chicago)
1960년대 후반 스페이스 록(Space Rock)
1960년대 후반~1970년대 전반 하드 록(Hard Rock), 헤비메탈(Heavy Metal)
1968년 영국 딥 퍼플(Deep Purple)
1970년 미국 에로스미스(Aerosmith)
1973년 호주 AC/DC
1985년 미국 건즈 앤 로지스(Guns n' Roses)
1970년대 초반 영국 글램 록(Glam Rock)
1968년 영국 퀸(Queen)
1970년대 중반 영국 펑크 록(Punk Rock)
1985년 영국 섹스 피스톨즈(Sex Pistols)
1970년대 후반~1980년대 초중반 팝 메탈(Pop Metal)
1983년 미국 본 조비(Bon Jovi)
1980년대 초반 스래시 메탈(Thrash Metal)
1981년 미국 메탈리카(Metallica)
1980년대 초반 일본 비주얼 록(Visual Rock)
1982년 일본 엑스재팬
1980년대~1990년대 초반 미국 얼터너티브 록(Alternative Rock)
1976년 아일랜드 U2
1987년 미국 너바나(Nirvana)
1990년 미국 펄잼(Pearl Jam)
1993년 영국 라디오헤드(Radiohead)
1980년대 후반~1990년대 중반 영국 슈게이징(Shoegazing)
Shoe+Gazine
얼터너티브 록의 하위 장르
무대에서 꼼짝 않고 악기만 연주하는 모습이 마치 신발을 쳐다보는 것 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
기타 이펙트와 명확히 구분되지 않는 보컬이 특징
소음을 음악으로 승화시킨 형태
1980년대 후반~2000년대 중반 모던 록(Modern Rock)
1990년대 초반 그런지(Grunge)
1990년대 영국 브리티시 록(British Rock), 브릿팝(Britpop)
1994년 영국 오아시스(Oasis)
2000년 영국 콜드플레이(Coldplay)
2008년 9월 8일 성격에 따라 좋아하는 음악 다르다, 이장직 https://www.joongang.co.kr/article/3290356
영국 에딘버러 헤리엇 와트대 심리학과 애드리언 노스
인디 밴드의 음악을 즐겨 듣는 사람은 머리카락이 지저분한 끔찍한 게으름뱅이다. 자존심도 없고 삶에 대한 의욕도 동기도 별로 없다. 친절하지도 관대하지도 않다. 하지만 창의성은 매우 높다.(중략)록큰롤 팬은 자존심이 강하고 창의성과 근면성도 높다. 하지만 친절하거나 관대하지는 않다.
2014년 8월 31일 커피집 무대서 영국 록 태동 … 지금은 명판만 남아, 조현진 https://www.joongang.co.kr/article/15689014
2020년 3월 11일 일본이 유독 록 음악에 강한 이유가 뭘까요 https://www.mule.co.kr/m/mulein/54333305
2025년 7월 6일 일본 애니 음악하면 록 음악이 떠오르는 이유는? https://www.fmkorea.com/best/8614518627
2024년 8월 30일 음악 흐름과 트렌드 변화에 대한 소소한 고찰 - 밴드붐은 과연 온것인가? https://www.fmkorea.com/7417743385
2024년 9월 16일 음악 흐름과 트렌드 변화에 대한 소소한 고찰 - 밴드붐은 과연 온 것인가? https://www.fmkorea.com/best/7478920632
앨런 프리드(Alan Freed) 미국 클리블랜드 라디오 방송국 DJ가 명명한다. 아프리카계 미국 흑인의 음악이 로큰롤로 발전한다. 미국 외에 영국과 일본에서 인기다. 과거 청년층의 로큰롤 사랑이 지금은 힙합으로 바뀐 ...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