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시대상/미래상

환경/보건

2013년 중국발 미세먼지

꽃가루, 황사 외에 공업화된 중국과 도시화도니 서울의 미세먼지를 걱정한다. 그리고 미세먼지때문에 마스크 착용이 생활화된다. • 황사 경보: 청색, 황색, 오렌지색, 적색 • 황사 발원지: 고비사막, 몽골, 네이멍구 ...

환경/보건

2011년 3월 11일 동일본 대지진

2011년 3월 11일 동일본 대지진 쓰나미로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손상 센다이공항 https://youtu.be/mk68bZ701s0 2021년 3월 11일 NHK 동일본대지진 10주기 기록영화 묻힌 목소리들(Buried Voices) 대피소 성폭행 피...

환경/보건

2010년대 초반 10대 여성 정신 건강 위기

2017년 9월 27일 10대 소녀 우울증 심각한 수준…영국 보고서 충격, 박윤수 https://www.wome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7268 새로운 세기 어린이들의 정신 건강 보고서, 런던정경대(UCL)와 리버풀대 ...

환경/보건

2010년 한국 DUR 시스템(Drug Utilization Review System): 약물, 약제 복용

영양제까지 더하면 갈수록 더 많은 사람들이 매일 약을 먹는다. 2010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DUR 시스템(Drug Utilization Review System) https://www.hira.or.kr/ra/medi/form.do?pgmid=HIRAA030029000000 약물, 약...

환경/보건

2010년 11월 22일 정신적 과잉 활동 증후군(PESM, Personnes Encombrées de Surefficience Mentale)

생각이 폭주하는 증상이다. 심리학적으로 검증되지 않아서 유사과학이라고 하기도 하나 대부분 질병 연구가 그러한 방식으로 시작되므로 풍부한 심리 상담 경험을 통해 내린 관련 종사자의 의견으로 참고할 수 있겠다...

환경/보건

2008년 동양하루살이 대발생/2025년 6월 중순 수도권 러브버그 대발생: 벌레 집단 발생

하늘을 가득 메운 메뚜기떼는 남의 나라에서 벌어지는 줄만 알았는데, 지구 온난화와 함께 평균 기온이 높아지면서 한국에서도 곤충이 집단 발생하는 일이 잦아진다. 2008년 전라남도 광양시 동양하루살이 대발생 201...

환경/보건

2008년 5월 24일~8월 15일 광우병 시위

도축장에서 도살하는 과정에서 나온 내장과 부산물을 가공해 소에게 먹여서 광우병이 발생한다. 뇌에 구멍이 난다는 괴담이 돌며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 최고조에 이른다.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799...

환경/보건

2006년~2007년 꿀벌 실종 사태

군집 붕괴 현상(CCD, Colony Collapse Disorder)은 벌, 개미처럼 무리를 지어 사는 군집이 갑자기 사라지는 현상이 있다. 2006년 11월,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플로리다의 한 농부가 일벌이 없어진 벌통을 발견한 이후 ...

환경/보건

2006년 한국 저출생(저출산) 논의 시작

2005년 합계 출산율 1.076명

환경/보건

2006년 5월 24일 환경 기록영화 불편한 진실(An Inconvenient Truth)

지구 환경 문제를 본격적으로 제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