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시대상/미래상

남자는 키와 문화권에 따라 수염 정도만 언급되는데, 여성에게는 건강에 문제가 있는 수준까지 요구한다. 남성 중심 사회가 원하는 여성상을 미인이라면서 설파하고, 갖가지 신체적인 제약을 가한다. 그리고 어느새 여성조차 그것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며, 그 기준에 맞추기 위해 애쓰고, 같은 여성끼리 품평하고, 경쟁한다. 남성의 눈에 아름답게 보이고, 스스로 순결한 여자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재미있는 건 문화권에 따라 순결을 증명하는 방법이나 미인의 기준이 다 다르다. 이렇게 보면 우리 세대가 지금 생각하는 아름다움이 결코 객관적이지 않다는 걸 깨닫게 된다. 그저 오랫동안 특정 집단이 공유한 미의식일 뿐이다. 그러나 이중 상당수가 수천년이 흐른 지금도 유지되고 있는 걸 보면 가부장제가 변하지 않았으며, 이러한 생각이 얼마나 견고하고, 깨부수기 힘든 것인지 알 수 있다.

 

남성에게는 거의 없는, 여성 외모에 대한 사회적 압력

1.사회적으로, 종교적으로 순결하고 아름다운 여성상을 규정한다.

(여기에는 여성을 성적인 대상으로 바라보고, 남성의 소유물로 보는 시선이 담겨 있다.)

2.같은 여자들 사이에서도 더 아름다운 여자에 대한 사회적 규범이 있다.

3.이것을 따르는 여자를 우대하고 칭찬하며, 그렇지 않은 여성을 비난하고 심하면 처벌하면서 계급을 나눈다.

4.대부분 여성이 이것을 의심 없이 받아들여 내면화한다.

5.이러한 여성을 대상으로 막대한 돈을 버는 산업이 존재한다.

(패션, 미용, 성형수술, 여성 잡지 등은 아름다움을 쫓는 여성에 의해 유지되는 산업이다. 사회적 기준을 넘어서는 여성은 가수가 되기 쉽고, 영화와 드라마의 주인공을 할 수 있으며, TV에 더 자주 나오고, 매체에서 찬양하며, 모두의 부러움의 대상이 된다.)

 

지금도 이어지는 여성 행실, 외모의 규범

 

처녀성, 처녀막 신화: 처녀막이 있어야 순결한 여자라는 믿음이 있다.

 

주로 여성이 하는 화장

얼굴을 아름답게 보이기 위해 단장하는 문화가 있다.

 

주로 여성만 입는 치마

전 세계 여성 스포츠 선수의 짧은 치마와 바지, 다리를 드러내는 하복을 입는다.

 

기원전 3,500년 이집트 하이힐: 남자의 키를 커보이게 하는 신발
1800년대 산업혁명 여성용 하이힐(High Heels): 다리가 날씬하고 길어 보이는 효과
2019년 11월 30일 하이힐은 어떻게 여성의 전유물 되었나, 위민복(외교관)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0718

 

기원전 1,100년경 고대 그리스 코르셋(Corset): 몸을 조여서 허리를 날씬하게 만드는 옷
1500년대 프랑스
1900년대 폴 푸아레
1910년대 코코 샤넬

 

1913년 여성만 착용하는 브래지어(Brassiere)

2025년 6월 18일 나이지리아 올라비시 오나반조 대학교 브래지어 검사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619_0003219723

 

1915년 미국 질레트, 여성 전용 면도기 마이 레이디
겨드랑이 제모 광고 https://www.hankyung.com/article/2009103039727
2005년 9월 20일 아름다움의 발명, 테레사 리오단 http://app.ac/VErOsjS73
가글링: 구취 제거
데오드란트: 액취 제거

 

1890년대~1910년 미국 체중 감량(다이어트, Diet)

잘 먹게 되면서 뚱뚱한 사람이 늘어나자 날씬한 여자가 아름답다는 인식이 생긴다.

1998년 다이어트의 역사: 체중과 외모, 다이어트를 둘러싼 인류와 역사 이야기, 운노 히로시(海野 弘) http://app.ac/bbM0ZJl13

 

여성 인권이 낮았던 시절에 생긴 전통이라는 이름의 폭력

 

-300년~1829년 인도 사티(सती): 남편이 죽으면 따라 산 채로 화장해 순장하는 힌두교 의식이다.
1987년 9월 4일 18세 과부 루프 칸와르(Roopkuvarda Kanwar) 사망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562

 

아프리카 여성 할례(FGM, Female Genital Mutilation)
여성의 성욕을 없애기 위해 생식기(성기) 일부를 절단 내지는 훼손한다.  순결하고 정절을 지킨다는 표시이다.

 

이슬람 전통 옷
순결을 지키고 정숙하다는 걸 표현한다.
부르카: 온 몸을 가리는 옷
니캅: 눈을 제외하고 온 몸을 가리는 옷
차도르: 얼굴을 제외하고 온 몸을 가리는 옷
히잡: 얼굴을 드러내는 두건

루싸리: 머리카락 일부나 보이는 옷

2017년 6월 29일 코란, 1400년의 전쟁 히잡, 진실 https://youtu.be/d_RiRvgJLrw

 

에티오피아 수르마(Surma)족, 무르시(Mursi)족
아랫 입술을 늘여서 접시를 끼우는 풍습이 있다. 접시가 클수록 아름답다. 노예 무역에서 여성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었다는 설이 있다.


모라타니(Mauritania)
살집 있는 여자를 선호해서 억지로 살을 찌우는 문화가 있다. 풍요롭다는 느낌을 주며, 건강해서 출산을 잘 할 수 있다는 이미지다.


~1970년 인도 아파타니족(Apatani) https://www.newsis.com/view/NISX20150717_0013799252
첫 생리를 하면 야삐울루(코마개)와 타니라는 얼굴 문신을 한다. 마을 침입자가 여성을 납치할까봐 일부로 못생기게 하는 관습에서 비롯한다.


미얀마와 태국 카렌족(Karen) https://m.blog.naver.com/with_pen/221039973782
다섯 살 때부터 목에 놋쇠 고리를 착용한다. 목이 길면 좌우로 움직일 수 없기에 평생 앞에 있는 남편만 바라보고 정절을 지키라는 풍속이다.

 

794년 일본 헤이안 시대~에도 시대, 메이지 시대 전

처음에는 남자도 했으나 점차 여성의 전유물이 된다.
히키마유(引眉): 눈썹을 뽑고 먹으로 그린 눈썹은 고귀한 신분을 상징한다.
오하구로(お歯黒): 검게 칠한 이빨은 희게 분칠한 얼굴과 대비되는 미적 장식이다.


937년~975년 남당(南唐) 시기에 황제 앞에서 전족(纏足)을 신고 춤을 춰서 찬사받은 궁녀 요랑(窅娘)이 있다. 5, 6세에 발을 조여맨 발을 금련(金蓮, 황금 연꽃), 궁족(弓足, 활 모양의 발)이라고 한다.
1875년 영국 선교사 존 맥고언 목사의 반 전족 운동
1999년 마지막 전족 신발 공장 폐쇄
2005년 문화와 폭력(Cinderella‘s Sisters), 도러시 고(Dorothy Ko) http://app.ac/G3PySxJ33

 

1392년 조선 쓰개치마, 장옷: 집을 나갈 때 머리카락과 몸을 가리는 치마

 


질문.

1.남성에 대한 미적 기준은 무엇인가? 이제서야 대중문화를 통해 여성이 보는 아름다운 남성상이 부각되면서 남성 사이에서 외모가 나쁜 사람을 칭하는 오징어론이 나온 게 아닐까? 한국 대중문화가 기존 남성상을 바꾸고 있기 때문에 남성들이 싫어하는 걸까?

2.여성을 성적으로 억압하는 것 말고 남성이 여성을 성적으로 바라보는 것에 대한 사회적 제약이 있는가?

삭제하시겠습니까?
취소
사진 및 파일 첨부

여기에 파일을 끌어 놓거나 왼쪽의 버튼을 클릭하세요.

파일 용량 제한 : 0MB (허용 확장자 : *.*)

0개 첨부 됨 ( / )
취소
삭제하시겠습니까?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