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시대상/미래상

인간관계
2025년 05월 31일

연구 대상인 인물이나 사회의 내부로 들어가서 마치 그의 일부나 일원인 것처럼 몰입해서 이념, 논리 구조, 심리 상태 등을 분석한다. 즉, 연구자가 대상의 뇌 구조도를 그려서 그것을 내면화함으로써 왜 그러한 생각이나 행동을 하는지 밝혀 낸다. 범죄학에서는 범죄자의 행동과 심리를 분석해서 범인을 찾는 프로파일러(Profiler)가 이러한 작업을 한다. 또, 연기자들은 배역을 연구할 때도 비슷한 방법을 사용한다. 예를 들면 그 인물이 됐다고 생각해서 일기를 쓴다. 그러나 상대한테 직접 물어보지 않는 한 그것이 진실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한국에서 정보가 부족한 북한 연구

 

외재적 접근법으로는 이해가 안 되는 국가로 낙인하는 문제가 있다. 반대로 내재적 접근법으로는 북한의 입장을 고려한 나머지, 편향됐다는 비판을 받는다. 내 시각으로만 바라보거나 지나치게 매몰되지 않고 대상을 균형있게 바라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1988년 논문, 북한 사회를 어떻게 볼 것인가, 송두율 재독학자 https://www.joongang.co.kr/article/238356 내제적 방법 소개
2002년 경계인의 사색, 송두율 http://app.ac/9jMj7ha53

 

2020년 12월 2일 북한 이해 방법, 임창호 목사 https://www.kcnp.com/news/view.php?no=5653

편집.기사 내용을 바탕으로 표로 정리

연구 방법 연구자  북한을 바라보는 시각
외재적 접근법 보수 학자 보편적인 시각에서 바라보자.
내재적 접근법 진보 학자 특수한 현실을 고려하자.
내관적 접근법 중도 학자 사회 현상을 관찰하되, 보편적으로 해석하자.

 


질문1.사회 갈등이 극심한데, 내재적 접근법으로 서로를 이해하고 대화하도록 만들 수 있을까?

질문2.소비자 심리학에서 내재적 접근법을 응용할 수 있을까?

+1

비밀글입니다.

삭제하시겠습니까?
취소
사진 및 파일 첨부

여기에 파일을 끌어 놓거나 왼쪽의 버튼을 클릭하세요.

파일 용량 제한 : 0MB (허용 확장자 : *.*)

0개 첨부 됨 ( / )
취소
삭제하시겠습니까?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