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징: 추상적인 것을 구체화한다.
기호: 의미를 나타내는 표시한다.
인간은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상징과 기호를 사용한다. 모호한 생각은 단어와 문장으로 구성된 말과 문자로 표현하고, 교육을 주는 내용은 이야기로 변환해 이해하게 쉽게 설명한다. 복잡한 내용은 한 마디로 요약하고 정리해서 기억하고 전파하기 쉽게 바꾼다. 그런데 이러한 상징과 기호 체계는 집단의 성질에 따라, 시간에 따라, 지역에 따라 다르게 사용하기도 한다. 그리고 부지불식간에 계속해서 변화한다.
상징과 기호의 장단점
| 장점 | 단점 |
|
이해하기 쉽다. 기억하기 쉽다. 전파하기 쉽다. |
단순화되어 생략된다. |
생각→말과 문자
머리 속에서 이루어지는 생각은 실체가 모호하고 정리돼 있지 않다. 게다가 끊임 없이 흘러간다. 결론도 없고, 가치 없는 경우도 많다. 그것 중에 일부만 말로 내뱉고, 문자로 기록한다. 생각은 단어와 문장으로 표현되는데, 우주처럼 넓고 싶은 생각을 다른 사람이 알아들을 수 있게 표현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왜냐하면 모든 생각을 표현할 단어가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비슷한 생각을 하는 문화권에 따라 다른 단어가 존재한다. 단어란 다수의 반복되는 생각으로 탄생한다. 많이 얘기해야 한다면 그때마다 간단하게 표현할 단어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교훈/지혜→이야기
모든 생물은 생존 본능이 있다. 현재를 잘 살고, 자손을 남겨 나의 흔적을 남기고 싶어 한다. 그래서 인생을 살아 가면서 얻은 소중한 지식을 나의 생존에 도움이 되는 동료와 후손들에게 남기는 데 적극적이다. 이런 면에서 어른들의 잔소리 본능은 우리 모두의 생존에 도움이 된다. 내가 시행착호를 겪지 않아도 선배들의 조언으로 시간과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그리고 그것을 효과적으로 전수하기 위해 인간은 이야기를 좋아하도록 프로그래밍돼 있다. 삶에 도움이 되는 내용을 동화, 우화, 소설, 영화, 드라마, 뮤지컬, 연극, 만화 등으로 습득한다. 간접 경험을 통해 삶을 살아가는 방법을 배운다.
복잡한 내용→요약 정리
우리의 뇌는 고도의 계산이 이루어지는 놀라운 기관이지만, 불행하게도 모든 것을 기억하지 못한다. 매일 벌어지는 무수한 상황 속에서 특기할 만한 소수의 것만 장기 기억으로 바꾼다. 세상은 복잡하고, 우리는 그 모든 것을 이해하지도 못한다. 하지만 살아가는 데는 많은 지식이 필요하다. 그래서 우리는 각자 다른 관심사와 다른 능력을 가지고 태어났다. 그리고 각자의 성과를 나누는 것을 좋아하도록 진화했다. 복잡한 것은 상징과 기호를 통해 단순하게 변환해서 오래 기억하고, 쉽게 전파한다. 사람의 이름, 기업의 로고, 작가의 대표작, 지역의 명소, 표어와 포스터는 많은 것을 함축적으로 보여줘 쉽게 공유된다.
| 분류 | 제목 | 날짜 |
|---|---|---|
| '코끼리는 생각하지 마.'를 들으면'코끼리'만 남는 명사의 위력 +1 | 2025년 05월 28일 | |
| 남북의 기념일 혹은 명절 | 2024년 09월 07일 | |
| 대한민국이라는 국호의 탄생 비화 | 2024년 09월 07일 | |
| 한국 기업이 영어로 도배를 하면 왜 외려 없어 보일까? | 2024년 05월 03일 | |
| 인간은 세상을 상징과 기호로 이해한다 | 2024년 04월 28일 | |
| 남을 양팔로 꼭 끌어 안는 포옹 | 2024년 04월 23일 | |
| 위험한 것을 분리하고, 우리 편을 보호하는 벽 | 2023년 10월 13일 | |
| 차별화하려고 사용한 정관사가 더 이상 특별하지 않다 | 2023년 06월 05일 | |
| 명품으로 재탄생한 사치품 | 2023년 01월 28일 | |
| 탈아시아, 탈아이돌이라는 접두어 | 2022년 11월 20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