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대상인 인물이나 사회의 내부로 들어가서 마치 그의 일부나 일원인 것처럼 몰입해서 이념, 논리 구조, 심리 상태 등을 분석한다. 즉, 연구자가 대상의 뇌 구조도를 그려서 그것을 내면화함으로써 왜 그러한 생각이나 행동을 하는지 밝혀 낸다. 범죄학에서는 범죄자의 행동과 심리를 분석해서 범인을 찾는 프로파일러(Profiler)가 이러한 작업을 한다. 또, 연기자들은 배역을 연구할 때도 비슷한 방법을 사용한다. 예를 들면 그 인물이 됐다고 생각해서 일기를 쓴다. 그러나 상대한테 직접 물어보지 않는 한 그것이 진실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한국에서 정보가 부족한 북한 연구
외재적 접근법으로는 이해가 안 되는 국가로 낙인하는 문제가 있다. 반대로 내재적 접근법으로는 북한의 입장을 고려한 나머지, 편향됐다는 비판을 받는다. 내 시각으로만 바라보거나 지나치게 매몰되지 않고 대상을 균형있게 바라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1988년 논문, 북한 사회를 어떻게 볼 것인가, 송두율 재독학자 https://www.joongang.co.kr/article/238356 내제적 방법 소개
2002년 경계인의 사색, 송두율 http://app.ac/9jMj7ha53
2020년 12월 2일 북한 이해 방법, 임창호 목사 https://www.kcnp.com/news/view.php?no=5653
편집.기사 내용을 바탕으로 표로 정리
| 연구 방법 | 연구자 | 북한을 바라보는 시각 |
| 외재적 접근법 | 보수 학자 | 보편적인 시각에서 바라보자. |
| 내재적 접근법 | 진보 학자 | 특수한 현실을 고려하자. |
| 내관적 접근법 | 중도 학자 | 사회 현상을 관찰하되, 보편적으로 해석하자. |
질문1.사회 갈등이 극심한데, 내재적 접근법으로 서로를 이해하고 대화하도록 만들 수 있을까?
질문2.소비자 심리학에서 내재적 접근법을 응용할 수 있을까?
| 분류 | 제목 | 날짜 |
|---|---|---|
| 무언가를 부탁하거나 어려운 말을 꺼내는 시점 | 2025년 09월 05일 | |
| 무언가 섞이는 것, 서로 다른 두 문화가 만날 때 | 2025년 08월 18일 | |
| 교제(데이트)와 결혼을 위한 여러 만남의 방법 | 2025년 08월 11일 | |
| 다른 사람을 엔피씨(NPC) 게임 캐릭터처럼 취급하는 무례 | 2025년 07월 19일 | |
| 범죄를 저질렀다는 누명 혹은 무고죄 | 2025년 07월 05일 | |
| 상대의 관점으로 보는 내재접 접근법 +1 | 2025년 05월 31일 | |
| 인공지능 챗봇으로 외로움(고독)을 해결할 수 있을까? | 2025년 03월 31일 | |
| 사람을 속이는 사기의 유형 | 2025년 02월 20일 | |
| 서로 다른 것을 조율하는 단계 | 2025년 02월 20일 | |
| 남을 미워하면서 인생을 낭비하는 혐오 정서 속의 혐오 놀이 +1 | 2025년 02월 16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