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강대국의 대통령이 바뀌니까 정책이 바뀌고 트렌드가 바뀐다? 미국 대통령의 임기는 4년이지만, 역사는 흐르고, 장기적으로 보면 큰 흐름은 바꾸기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당장은 사회관계망으로 정제하지 않고 직설적으로 발언하며, 기존 문법을 무시하는 즉흥적인 정책 결정으로 불확실성이 증가한다.
2025년 5월 13일 Nervous About Trump, NYC’s Rich Parents Are Being Lured by Elite UK Schools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5-05-13/uk-private-schools-lure-nyc-parents-alarmed-by-trump 부유층 자녀의 유럽 유학 추진
미국 우선
한국 방위금 부담 증가가 예상되고, 외국 전쟁에 지원하는 건 약화될 것이다. 단 이스라엘은 예외일 가능성이 있다. 모든 정책은 다시 미국을 위대하게 만들겠다는 것인데, 마치 벌거벗은 임금님처럼 자신들은 나르시시즘에 빠져 있지만, 전 세계인은 아무도 인정하지 않는 처지가 될 수도 있다.
- 멕시코만(Golfo de México)→아메리카만(Gulf of America)
- 무역협정 재검토
- 캐나다, 그린란드 영토 욕심 표현
제조업 부흥
국민에 세금을 부과하는 대신에 외국산에 관세를 붙이겠다는 건데, 수입산의 가격이 올라서 서민의 물가 부담은 여전할 것이다. 외국산 전기자동차를 탄압하고 테슬라에게만 이득이 될 거라는 말도 있다.
- 외국산 관세>자국민 세금
- 대외수입청(External Revenue Service) 설치
- 정부효율부(DOGE) 신설
- 전기자동차 의무화 철회
- 화성 탐사 지원
반환경
전 세계적으로 지금 가장 시급한 건 환경 문제인데, 제조업을 살리기 위해 환경 문제를 무시한다. 이것을 보면 역사적으로 산업혁명이 지구 환경에 얼마나 악영향을 끼쳤는지 다시 한번 깨닫게 된다.
- 파리 기후변화 협정 탈퇴
- 화석연료 시추, 광물 채굴 사용 부담 규제 완화
- 자동차 배출가스 규제 기준 백지화
불법 이민자 차단, 추방
모든 불만을 이민자한테 퍼붓고 있다. 같은 백인의 캐나다보다 멕시코를 미워하는 건 확실하다. 여기에는 마약과 갱단 문제도 있을 것이다. 히스패닉 인구가 증가하는 것에 대한 걱정도 있다.
2025년 4월 3일 골드 카드(Gold Card) 실물 공개, 500만 달러(약 72억6천만원) 상당 영주권 2025년 5월 23일 ‘It’s unsafe’: why Trump’s ‘gold card’ visa is failing to lure wealthy, Mandy Zuo, Fan Chen https://www.scmp.com/economy/china-economy/article/3311338/its-unsafe-why-trumps-gold-card-visa-failing-lure-wealthy-chinese
2025년 5월 11일 남아프리카공화국 백인 아프리카너(Afrikaner) 난민 49명 수용
- 불법이민자 자녀 시민권 불인정(수정헌법 14조 미국에서 태어나거나 귀화한 모든 사람한테 시민권 부여)
- 남부 국경 비상사태 선포
- 국경 장벽 건설
- 멕시코 잔류(Remain in Mexico) 복원
- 체포 후 석방(catch-and-release) 정책 폐기
2025년 6월 6일 미국 로스앤젤레스 이민세관단속국(ICE) 불법 이민자 단속 추방 반대 시위
2025년 6월 8일 캘리포니아 주지사 개빈 뉴섬 동의 없이 79사단 소속 주방위군 2000여명 투입
2025년 6월 11일 집에 가려는 소녀에게 고무탄 발사 https://youtu.be/wFRcVRDqNrQ
2025년 6월 14일 이민자 추반 반대 집회 노 킹스(No Kings, 트럼프는 왕이 아니다.)
2025년 9월 4일 현대자동차그룹, LG에너지솔루션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서 불법 체류 단속
다양성 정책 폐기
디즈니는 이제 흑인을 주인공으로 내세우지 않을까? 메타는 벌써 DEI 정책을 폐기할 움직임이다. 낙태권으로 갈등한 여성, 성소수자, 아메리카 원주민, 이민자 모두에게 암흑기가 올 수 있다.
- 데날리산(Mount Denali)→매킨리산(Mount McKinley): 아메리카 원주민 존중 폐기
- 다양성·형평성·포용성(DEI·Diversity, Equity, Inclusion) 관료 채용 동결
- 남성과 여성만 인정
2021년 1월 미국 바이든 행정부 도입
2025년 1월 20일 미국 트럼프 행정부 폐기 행정명령
| 순응 | 반발 |
| 구글 골드만삭스 디즈니 맥도널드 메타 아마존 월마트 타겟 PBS 할리 데이비슨 등 |
애플 하버드대학교 등 |
2025년 2월 6일 트럼프의 DEI 정책 금지에…美육사 한국계 클럽도 직격탄, 고정삼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0664777
2025년 2월 10일 트럼프 DEI 금지, 과학계까지 타격…창의적 연구환경 저해 우려,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250210147400009
2025년 3월 15일 알링턴 국립묘지 홈페이지 흑인, 히스패닉, 여성 군인 정보 삭제 https://www.news1.kr/world/usa-canada/5720104
2025년 3월 22일 미국항공우주국 여성, 흑인 우주 비행사 그래픽 노블 삭제했다가 이전 https://nasawatch.com/education/you-can-still-read-nasas-deleted-first-woman-graphic-novels
2025년 4월 13일 라틴아메리카 이민자들, 해고·단속·추방 우려에 소비 감소 https://www.ft.com/content/bb6758b0-f3b8-4958-ba7c-25a4f2e6c28d
2025년 9월 10일 찰리 커크(Charlie Kirk) 미국 보수 논객 피살
극우 인플루언서의 사망에 분노하며 좌파 척결을 외친다. 이전까지는 하층민을 대변하는 진보 진영이 연대를 외쳤다면 이제는 보수 진영이 연대한다. 상류층은 그대로인데, 보수적인 하층민이 박탈감을 호소하며, 진...
2025년 8월 26일 인도네시아/2025년 9월 5일 네팔 외: Z세대 시위
일본 만화 원피스 해적 깃발 https://youtu.be/J-c38l5AndI?si=ouQB7CHQYJIvZrBd&t=115 2025년 10월 9일 전 세계 곳곳에서 정부를 무너뜨리는 Z세대 … 그러나 SNS 시위가 지속적인 변화로 이어질 수 있을까?https://w...
2025년 6월 4일~2030년 6월 3일 제21대 이재명 대통령
한국에서는 2025년 6월 4일부터 2030년 6월 3일까지 제 21대 이재명 대통령(더불어민주당) 임기가 시작됐다. 슬로건은 '이제부터 진짜 대한민국'이다. 예상하지 못한 비상 계엄 사태로 조기에 대통령 선거가 이루어졌...
2025년 5월 12일~6월 2일 제21대 대통령 선거 운동
한국은 5년 단임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투표일 전부터 대통령 선거 운동을 시작한다. 대통령 선거 배경 이례적으로 비상 계엄 사태에 이은 대통령 탄핵으로 조기에 대통령 선거가 치뤄진다. 이 과정에서 여성이 변화...
어대명과 내란에 이은 사법 쿠데타? 2025년 1월 15일 윤석열 대통령 체포 2025년 3월 8일 윤석열 대통령 체포 52일 만에 석방 2025년 5월 13일 내란옹호 댓글, 1월 윤석열 체포 시점 폭증 https://www.ohmynews.com/N...
2025년 1월 20일~2029년 1월 19일 미국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대통령의 미국이 돌아왔다(America Is Back)
세계 최대 강대국의 대통령이 바뀌니까 정책이 바뀌고 트렌드가 바뀐다? 미국 대통령의 임기는 4년이지만, 역사는 흐르고, 장기적으로 보면 큰 흐름은 바꾸기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당장은 사회관계망으로 정제하지 ...
계급 사회에 좌절하고, 금수저에 분노하는 국민들 https://www.heethink.com/research/196053 방글라데시 몬순 혁명(ছাত্র-জনতার অভ্যুত্থান) 2024년 6월 6일~6월 9일, 7월 10일~7월 21일, 7월 29일~8월 5일 독립 유...
2024년 11월 5일 카멀라 해리스와 도널드 트럼프의 미국 대통령 선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당선되어 2기를 맞이 한다. 대통령 선거 결과로 반추하는 미국의 오늘 https://trenddb.com/report/1662001 2024년 11월 5일 투표일 정당 민주당 공화당 대통령 후보 조 바이든→카멀라 해리스...
2023년 4월 4일 대통령 재의요구권(거부권) 정치와 야당의 줄탄핵
헌법 53조 국회가 의결한 법률안에 이의가 있을 때 대통령이 재의를 요구할 수 있다. 2025년 3월 17일 기준 여당인 국민의힘 정부 총 39회 거부권을 쓰고, 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총 29회 줄탄핵이 이어진다. https:/...
압수수색, 감사, 세무조사 약진하는 검찰 2천명 중 주로 특수부 윤석열 라인. 좋아 빠르게 가+어퍼컷 세리머니로 권력을 거머쥔 대통령이 평생 검찰에서 일해왔으니 당연한 결과. 1980년 대까지만 해도 정부 요직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