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각하게 불편하지 않다면 병이 아니다. 질병이란 몸이 아픈 것을 말한다. 그렇다면 어디까지 아파야 질병일까? 사소한 다툼이 소송으로 이어지고, 작은 소동으로 커뮤니티 대란이 일어나는 것처럼 별일 아닌데, 문제시하며 일부러 부풀리고, 호들갑을 떠는 건 아닐까? 잠깐의 이상 증세일 뿐인데 심각한 병세로 오인하는 건 아닐까? 특히, 인터넷 검색을 하면 조그마한 두통이 큰 병일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에 빠지기 쉽다.
| 구분 |
병이라고 인식하고 서둘러 치료한다. |
증상을 병으로 몰아가지 않는다. |
| 특징 |
병에 대해 적극적인 태도로 치료에 임한다. |
의지를 갖고 나쁜 상태가 되지 않게 관리한다. |
| 장점 |
초기에 발견해 쉽게 낫는다. 환자 대우를 받는다. |
병이라고 생각하지 않으면 별 것 아닐 수 있다. 걱정, 돈, 시간을 절약한다. |
| 단점 |
약품/약물과 의사에게 의지한다. 과잉치료한다. |
작은 병을 방치해서 크게 만든다. 잘못 알았을 수 있다. |
질병 극복의 시작점은 문제가 있다는 걸 인정하는 것이다. 질병의 치료를 마음 먹었다면 완치하겠다고 결심한다. 그리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서 실행한다. 이런 과정을 통해 질병으로부터 자유로운 몸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바로 병원에 가지 않거나 약에 의지하지 않고, 스스로 생활 습관을 바꾸고, 해결 방법을 찾아볼 수도 있다. 다만 질병 극복의 의지를 갖는 것은 바람직하지만, 잘못된 정보에 근거해 오히려 병을 키우는 일도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2016년 4월 블레이크 로스(Blake Ross) 파이어폭스 공동 설립자 사물을 머리 속에서 이미지로 재현할 수 없는 아판타지아(Aphantasia) 증상 고백
2025년 5월 14일 SNS에 떠도는 ‘ADHD 괴담’…“이런게 정말 진짜 일까?”, 김다정 https://kormedi.com/2718236
| 분류 | 제목 | 날짜 |
|---|---|---|
| '코끼리는 생각하지 마.'를 들으면'코끼리'만 남는 명사의 위력 +1 | 2025년 05월 28일 | |
| 불관용, 무관용의 사회 | 2025년 05월 28일 | |
| 대안과 대체품을 찾아서 적정선에서 타협하는 의사결정 | 2025년 05월 26일 | |
| 현실 감각을 잃어버린다는 것 | 2025년 05월 15일 | |
| 사람들은 돈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정말 그럴까? | 2025년 04월 05일 | |
| 어떤 원인으로 인해 벌어지는 결과 | 2025년 04월 01일 | |
| 변화를 받아들이는 태도 | 2025년 03월 17일 | |
| 정치 성향, 정치색, 정치관, 정치적 스펙트럼(Political Spectrum) | 2025년 03월 03일 | |
| 완벽한 사람이라는 신화 | 2025년 02월 20일 | |
| 구분하고 분류해서 비교하고 평가하는 수고 | 2025년 02월 16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