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는 진보한다. 권력은 분산되고 민주화된다. 그런데 기득권을 놓지 않으려고 할수록 보수적인 과거로 돌아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혹은 과거에는 약자였더라도 현재는 상대적 우위에 있다고 생각한다면 기득권과 같은 입장에서 생각한다.
| 기득권 | 보수화/우경화 이유 | 사례 |
| 잘 산다. | 못 사는 애들이 기어오른다. |
강남구 유권자 잘 사는 한국이 싫은 일본인 잘 나가는 중국이 싫은 한국인 |
| 지위가 높다. | 싫은 소리를 믿지 않는다. |
대통령의 비상계엄 |
| 나이가 들었다. | 변화가 두렵다. | 한국 고령자 |
| 남자다. | 여성 인권이 높아지는 게 역차별이다. | 한국 우파 청년 |
| 백인이다. | 이민자, 난민이 싫다. | 미국 우파 백인 |
2017년 10월 느린걸음, 김예슬 <촛불혁명> 서문
박노해 특별 기고-우리가 손에 든 건 촛불이었지만, 우리 가슴에 든 건 혁명이었다
https://blog.naver.com/slow_foot/221298934075
20대 청년이 자기 시대의 인간 고통과 사회 모순을 끌어안고 저항하는 시간이 15년, 그 성과를 주류 사회로 펼쳐가는 시간이 15년, 그렇게 30년이 되면 그 세대는 기득권이 되어 점차 굳어지고 보수화된다.
2020년 6월 29일 ‘인국공’ 논란이 보여준 노동운동의 현주소와 갈 길, 전지윤 다른 세상을 향한 연대 실행위원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7872
로자 룩셈부르크
발전의 변증법에서는 노동조합을 성장시키는 이러한 필연적인 수단이 오히려 노동조합 발전이 특정 단계에 이르고, 조건이 어느 정도 무르익으면 더 이상 발전하지 못하게 가로막는 걸림돌로 변화하는 상황이 나타난다.
2023년 10월 15일 서구 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는 성소수자 보수주의 현상 https://theqoo.net/square/2965527565
2025년 1월 19일 "대통령님 힘내세요" 2030 남성 '청년 우파' 결집 배경은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11611320004086
2025년 11월 5일 미국 이민자 출신 히스패닉 유권자의 불법 체류자를 추방하겠다는 공화당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후보 투표
| 분류 | 제목 | 날짜 |
|---|---|---|
| '코끼리는 생각하지 마.'를 들으면'코끼리'만 남는 명사의 위력 +1 | 2025년 05월 28일 | |
| 불관용, 무관용의 사회 | 2025년 05월 28일 | |
| 대안과 대체품을 찾아서 적정선에서 타협하는 의사결정 | 2025년 05월 26일 | |
| 현실 감각을 잃어버린다는 것 | 2025년 05월 15일 | |
| 사람들은 돈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정말 그럴까? | 2025년 04월 05일 | |
| 어떤 원인으로 인해 벌어지는 결과 | 2025년 04월 01일 | |
| 변화를 받아들이는 태도 | 2025년 03월 17일 | |
| 정치 성향, 정치색, 정치관, 정치적 스펙트럼(Political Spectrum) | 2025년 03월 03일 | |
| 완벽한 사람이라는 신화 | 2025년 02월 20일 | |
| 구분하고 분류해서 비교하고 평가하는 수고 | 2025년 02월 16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