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대중음악을 뜻하는 가요라는 단어는 1990년대 말 한류 이후 영어인 케이팝으로 대체된다. 세계적으로 인기를 끈 아이돌 음악을 가르켜서 좁게 말하기도 하지만, 외국에서는 한국 음악을 통칭한다. 그런데 케이팝이라는 단어가 만들어진 데는 세계화의 해프닝이 있었다. 고유어를 음차하지 않고 관행에 따라 영어화한 것이다. 다만, 가요를 세계적으로 통용했다면 일본의 가요교쿠와 헷갈리는 면이 없지 않았을 것이다.
일본 가요쿄쿠(歌謡曲)→제이팝(J-pop)→개명 유행에 따라 약칭 제이리그(J League)
일본에서는 1980년대 거품 경제기에 공기업이 민영화되면서 영문 약자로 J를 사용하는 게 유행이었다고 한다. 한국에서도 1990년대에 세계화라는 단어가 유행하면서 한글 이름을 영어로 바꾸거나 영문 약자를 추가하는 일이 많았는데, 그와 비슷한 상황이었던 것 같다. 그렇게 제이팝이라는 단어가 생겨났다. 그리고 자연스럽게 프로축구 리그 역시 제이리그라는 별명이 생겼다.
질문.일본 대중가요가 가요교쿠였다면 한국의 가요와 연관이 있나?
1985년 일본전매공사 민영화로 일본담배산업(JT, Japan Tobacco)
1987년 일본국유철도 민영화로 JR
1988년 10월 FM방송국 J-WAV, J-POP
1989년 J-WAVE, J-POP 클래식 방송
1993년 일본프로축구리그 약칭으로 J리그(J League)
제이리그(J League) 인기→케이리그(K League)
김현회 기자의 기사에 의하면 1983년에 시작한 한국보다 뒤늦은 1993년에 제이리그가 출범하고, 인기를 끌자 언론에서 제이리그와 비교하며 케이리그라고 부르던 것이 리그 이름이 계속 바뀌던 한국프로축구리그의 정식 명칭까지 바꿨다고 한다. 즉, 케이리그라는 이름은 제이리그의 아류라는 것이다.
2009년 10월 21일 스스로 만든 굴욕의 이름 'K-리그', 김현회 https://sports.news.nate.com/view/20091021n04439
~1982년 코리안리그(실업 경기 대회)
1983년 슈퍼리그
1986년 축구대제전
1993년~1995년 하이트배 코리안 리그
1996년~1997년 라피도컵 프로축구대회
1998년 현대컵 K-리그
2010년 K리그(K League)
한국 가요(歌謠)→케이리그(K League) 참고→케이팝(K-pop)
동아시아에서 한류 열풍이 불면서 미국 음악 잡지에서 일하는 한국 특파원이 가요를 외국어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케이리그에서 영감을 받아 케이팝이라는 단어를 만들었다. 지금이라면 가요를 발음 그대로 음차(Gayo)했겠지만, 과거에는 전을 코리안 팬케이크라고 한 것처럼 풀어서 번역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렇게 해서 한국 가요는 각 나라에서 노래라는 뜻의 프랑스어 샹송(Chanson), 이탈리아어 깐쪼네(Canzone), 스페인어 깐시온(Cancion)과 달리 케이팝이 됐다. 그리고 이것이 유행돼서 중국은 씨팝(C-pop), 인도는 아이팝(I-pop)과 같은 근본 없는 이름이 범람하기 시작한다. 카자흐스탄(Kazakhstan)의 경우는 영문 케이가 케이팝과 중복돼서 큐팝(Q-pop)이라고 한다.
1999년 10월 9일 조현진 빌보드 한국특파원 기고
요약.K리그에서 영감을 받아 가요를 이해하기 쉬운 용어로 대체했다.
2019년 10월 11일 Looking Back at How ‘K-Pop’ Came to Billboard 20 Years Ago, Tamar Herman https://www.billboard.com/music/music-news/k-pop-billboard-20-years-8532755 https://www.newsis.com/view/NISX20191022_0000805823
Kim used the term “gayo (??),” a Korean term for popular music. Cho brainstormed the idea with his editor to replace it with a more accessible term, and was inspired by the Korean soccer league, known as the K League.
2009년 빌보드 차트에 케이팝 등장
2013년 빌보드 전담 코너로 케이타운 신설
| 분류 | 제목 | 날짜 |
|---|---|---|
| '코끼리는 생각하지 마.'를 들으면'코끼리'만 남는 명사의 위력 +1 | 2025년 05월 28일 | |
| 불관용, 무관용의 사회 | 2025년 05월 28일 | |
| 대안과 대체품을 찾아서 적정선에서 타협하는 의사결정 | 2025년 05월 26일 | |
| 현실 감각을 잃어버린다는 것 | 2025년 05월 15일 | |
| 사람들은 돈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정말 그럴까? | 2025년 04월 05일 | |
| 어떤 원인으로 인해 벌어지는 결과 | 2025년 04월 01일 | |
| 변화를 받아들이는 태도 | 2025년 03월 17일 | |
| 정치 성향, 정치색, 정치관, 정치적 스펙트럼(Political Spectrum) | 2025년 03월 03일 | |
| 완벽한 사람이라는 신화 | 2025년 02월 20일 | |
| 구분하고 분류해서 비교하고 평가하는 수고 | 2025년 02월 16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