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아는 것은 무시하고, 내가 모르는 것에 관심을 둔다. 세상에는 새로운 것과 함께 기존의 것도 함께 존재해야 한다. 새가 좌우의 날개로 날듯이 삶에는 시간이 쌓아올린 지혜가 필요한 순간이 있다. 사실 세상에 완전히 새로운 것도 없다. 조금씩 변형될 뿐이다. 그런데도 새로움과 연관된 단어의 사용 빈도는 매우 높다. 즉 돈이 된다. 게다가 한국 전쟁 이후 급성장한 한국은 새로운 것이 발전을 가져다준다는 경험 때문에 새로운 것이라면 무엇이든 좋아한다.
새로움을 과도하게 찬양한다
자본주의는 새로움을 찬양하는 사회다. 사람들은 계속 새 물건을 사줘야 한다. 새로운 인물은 화제를 몰고 오고, 매체는 그들을 주목한다. 조회수가 높으면 돈을 번다. 이미 있는 것인데도 포장을 바꾸고, 이름을 바꿔서 새로운 것처럼 보이게 만든다. 세대교체를 주장한다. 기술도 새로움을 좋아한다. 신기술은 빠르게 기존 기술을 구식으로 만들어 버리고, 사람들은 새 기술에 열광한다. 변화의 속도가 빠를수록 기회가 생긴다. 미래 세대란 앞으로 돈 쓸 시간이 많이 남은 사람이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http://stdict.korean.go.kr 참조
새롭다: 지금까지 있은 적이 없다.
신규(新規): 새로운 규칙이나 규정.
신문물(新文物): 새로운 문물.
신상품(新商品): 새로 개발한 상품.
신세대(新世代): 새로운 세대.
신식(新式): 새로운 방식이나 형식.
신인(新人): 예술계나 체육계 따위와 같은 분야에 새로 등장한 사람.
신입사원
신입생(新入生): 새로 입학한 학생.
신선하다(新鮮하다): 새롭고 산뜻하다.
신진(新進): 어떤 사회나 분야에 새로 나섬. 또는 그런 사람.
신흥(新興): 어떤 사회적 사실이나 현상이 새로 일어남.
참신하다(斬新하다/嶄新하다): 새롭고 산뜻하다.
첨단(尖端): 시대 사조, 학문, 유행 따위의 맨 앞장.
최신(最新): 가장 새로움.
오래된 것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며 무시한다
세상이 천천히 변할 때는 과거의 경험이 요긴했다. 집안이나 동네의 어른은 올바른 선택을 하는 데 지혜를 빌려준다. 책과 같은 매체가 발달하지 않아서 새로운 지식을 얻기 힘들었다. 이제는 세상이 바뀌어서 10년이면 강산이 변한다는 말도 옛말이 됐다. 오늘이 다르고 내일이 다르다. 빠르게 발전하는 사회는 디지털 난민을 만든다. 사람의 생각이나 생활방식도 금방 변해서 적응하기가 쉽지 않다. 오래된 것을 안 좋게 보는 시선이 널리 받아들여진다.
구세대(舊世代): 이전의 세대. 또는 나이 든 낡은 세대.
구식(舊式): 예전의 방식이나 형식.
기성품(旣成品): 이미 만들어져 있는 물품. 또는 미리 일정한 규격대로 만들어 놓고 파는 물품
기존(旣存): 이미 존재함.
낡다: 물건 따위가 오래되어 헐고 너절하게 되다.
연식(年食): 사람이나 동·식물 따위가 세상에 나서 살아온 햇수.
오래되다: 시간이 지나간 동안이 길다.
질문.새로움의 기준은?
얼마 정도 기간이면 새롭다고 느끼는가?
예전부터 있었는데 지금 알게 됐다면 새로운 건가 아닌가?
누군가에게는 새롭고, 다른 이는 새롭지 않다면?
| 분류 | 제목 | 날짜 |
|---|---|---|
| 고령자일수록 조심해야 할 운동요법 | 2025년 09월 24일 | |
| 고단한 일상을 지우는 3차원의 환상, 외국 여행 경험 | 2025년 09월 15일 | |
| 무언가를 부탁하거나 어려운 말을 꺼내는 시점 | 2025년 09월 05일 | |
| 지금까지는 돈을 계산했다가 시간을 계산하며 산다는 것 | 2025년 08월 28일 | |
| 새로움을 찬양하는 자본주의 사회 | 2025년 08월 22일 | |
| 무언가 섞이는 것, 서로 다른 두 문화가 만날 때 | 2025년 08월 18일 | |
| 매일 해도 티가 안 나는 살림, 집안일, 가사노동 | 2025년 08월 12일 | |
| 교제(데이트)와 결혼을 위한 여러 만남의 방법 | 2025년 08월 11일 | |
| 더 젊어진 사람들과 세대 교체가 안 된다는 불만 | 2025년 08월 09일 | |
| 건강 관리를 안 하는 부모를 둔 자녀의 고민 | 2025년 07월 26일 |